안녕하세요 꽁냥백과입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검치호 입니다
이 동물은 어떻게해서 멸종하게 되었을까요?
1839년 덴마크의 고고학자 피터룬드는
브라질의 석회동굴에서
무려 10,000 점이 넘는 화석을 발견했습니다
그중에서 룬드는 눈에띄는 화석을 발견하게 되는데
그 화석은 크기가 그렇게 크지않아서
작은 하이에나 같은 동물에 송곳니 라고 추측을 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송곳니 라고 추정하는것에 나머지 부분이 발견을했고
그 부분들을 전부 합쳐보니깐 티라노사우로스에 이빨 크기만 했다고 합니다
날카로운 검과도 같은 송곳니 모습이
마치 호랑이와 닮은 이 동물을
우리는 검치호 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그 검치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검치호의 탄생
이 동물은 약 10,000년 전까지 살았고
아메리카 대륙에 살았던 '스밀로돈'이라고 불렸습니다
이녀석은 믿기시지 않겠지만 고양이과의 육식 동물입니다
스밀로돈에 이름의 뜻은 '양날의 이빨 칼' 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이녀석은 생김새만 본다면
고양이에 신체능력을 가질것 같지만
일반적인 고양이과 동물들이
힘과 민첩성을 모두 갖추고있지만
검치호는 골격 및 신체구조는
오히려 곰이나 하이에나와 유사합니다
튼튼한 앞다리에 비해서 상대적을 짧고
빈약한 뒷다리를 가지고있고
튼튼한 목을가지고 있기때문에
전반적으로 민첩함은 떨어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2. 빈약한 이빨
이녀석에 외모만 본다면 엄청난 이빨힘을 가지고 있을것 같지만
실제로 스밀로돈의 두개골을 통해 실험을 한결과
치악력은 고작 100kg 정도밖에 나오지않았다고 합니다
즉 사자의 절반 이하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으로 따지면 큰 개정도에 불과했다고 합니다
크기만 본다면 지금의 사자보다는 검치호가 크기가 크지만
치악력은 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송곳니의 날카롭고 예리한 구조는
목처럼 약한 부위를 공격하는데 최적의 조건이고
이 날카로운 송곳니로 공격하면 목동맥을 찔러서
뇌로 가는 혈액을 차단해서 일격에 처치했을 것이라고 합니다
3.사냥을 위한 용도
모든 사람들이 검치호에 커다란 어금니를
사냥을 위한 용도로 사용했을 것이라 생각할 겁니다
하지만 학자들이 이 어금니에 용도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 하게 됩니다
코끼리의 상아나 코뿔쏘에 뿔을 본다면
뿔이 몸의 바깥쪽으로 자라는것을 확인 할수가 있을겁니다
자신의 몸을 지키기위해 다른동물들을 밀어낼수도있고
밀린다면 찔려서 중상을 입을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검치호는 안쪽으로 자라는것을 확인 할수가 있습니다
이 어금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어금니보다 입을 크게 벌리고
사냥감에 몸에 찔러 넣으면서 사용을 할수가 있죠
그래서 학자들은 사냥을 위해서 길어진 송곳니가
나중에는 암컷들의 구애를 받는데 유리했기 때문에
점점 송곳니 위주로 성장을 하게 됐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너무 비정상적으로 큰 어금니 때문에
사냥을 하기 어려워졌고 그로인해서 멸종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추측도 헛점이 너무많았는데
이녀석들은 무려 200만년 이상을 이렇게 멸종하지않고 살았고
암컷들도 어금니가 길었기때문에 논점이 많지않다고 했습니다
4.사냥방법
그렇다면 검치호는 어떻게해서 저 큰 어금니로 사냥을 할수 있었을까요?
기존에 사자들은 약 60도 정도 까지 벌릴수가 있고
검치호는 무려 120도까지 벌릴수가 있었습니다
이 거대한 송곳니를 비교적 피부가얇은 목에다가 찔러넣어서
목동맥을 차단해 일격에 처치했을거라고 추측이 됩니다
이녀석은 나무가 있는 숲과같은 환경에서 살았는데
이와같이 추측하는이유는
검치호 같은경우에는 꼬리가 짧다는것을 확인을 할수가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초원에사는 초식동물들은 지그재그로 달리면서 도망가는데
육식동물들은 그 지그재그로 달리는 초식동물 잡기위해 꼬리를 이용해서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타 역할을 수월하게 하기위해서
꼬리가 길수록 유리했죠
그래서 검치호같이 꼬리가 짧은 육식동물들은
이런식으로 지그재그로 도망치는 동물들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검치호가 숲과같은 환경에서 자랐을것이라고 추측이 됩니다
그래서 숲에서 사는 자신보다 덩치가 컸던 동물들을 사냥을했을것이고
어린 매머드나 메가테리움같은 동물들을 사냥했을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5.멸종
검치호에 멸종원인은 다양하게 볼수가있지만
그중에서 가장 유력한 원인은 바로 인간이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고 약 1만년전에
매머드와 메가테리움같은 대형동물들이 멸종하는 계기가 발생합니다
바로 인류의 최초 '호모 사피엔스' 가 원인이라는 이유가 유력해집니다
호모 사피엔스 즉 인류는 어마어마한 번식력으로 숫자를 늘려갔고
순신각에 주변에 있는 대형동물들을 사냥을하며 멸종을 시켰습니다
그렇게 검치호에 먹잇감이였던 대형동물들이 사라지면서
자연스럽게 검치호도 멸종에 길을 걷게 되었다는게
학자들에 가장 유력한 추측이라고 합니다
#검치호
#스밀로돈
#고양이
#포유류
#과학
#동물
#호랑이
#다큐멘터리
#고대의맹수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주동안 물을 안마셔도 사막에서 버틸수 있는 이유 (feat 낙타) (0) | 2020.10.05 |
---|---|
피라냐보다 외국들이 무서워하는 한국물고기가 있다??? (0) | 2020.10.03 |
노화와 암에 걸리지 않는 바닷가재가 일찍 죽는이유 (0) | 2020.09.27 |
로마제국에 의해서 멸종당한 끔찍한 나무 등반가 (feat.아틀라스 불곰) (0) | 2020.09.23 |
당신이 알아야 하는 죽을때까지 성장판이 닫히지않고 자라는 물고기 고래상어 (0) | 2020.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