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6분만에 알아보는 당신이 모르는 '한국너구리' 에 흥미로운 사실들

by 꽁냥백과 2021. 1. 28.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안녕하세요 꽁냥백과입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한국 너구리 입니다

 

일부 사람들은 너구리와 라쿤이

 

같은 동물인줄 알고 계시는분이 많습니다

 

실제로 이름이 붙혀진 계기가

 

둘이 생김새가 비슷하다고 해서

 

한국어로는 라쿤 보고

 

'미국에 사는 너구리 비슷한 동물' 이라고 해서

 

미국 너구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생물학적으로 따져보면 같은 식육목이긴 하지만

 

완전히 전혀 다른 종류의 생물입니다

 

너구리는 의외로 개과에 속하는 동물이고

 

너구리는 미국너구리과로 나뉘게 되기 때문이죠

 

오늘은 그 한국 너구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상을 시청하시기전에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을 만드는데 큰 힘이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1. 너구리의 생김새

 

이 너구리는 몸길이 45cm~71cm

 

몸무게는 3~10kg 정도 나가는 생각보다 큰 동물입니다

 

지금 현재에 우리나라에서는 호랑이나 표범 늑대같은

 

대형 포식 동물이 없는 구조이기때문에

 

너구리는 우리나라 현재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을 하고 있습니다

 

주둥이가 뾰족하고 귀가 둥글둥글한게 특징인데

 

짙은색의 가죽은 현재에도 저급 모피로 사용이 된다고 하죠

 

한 때 많은 너구리들이

 

산 채로 가죽을 벗겨 가죽이 벗겨진 채로 고통을 느끼다가

 

맥아리 없이 축쳐져서 죽어가는 모습이 이슈가 되었죠

 

너무나 잔인한 모습에 경악을 금치 못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가축을 사육하는건 어쩔수 없다고 볼수도 있겠지만

 

조금 잔인한 도축 방식은

 

바꿀수있다면 정말 좋다고 볼수가 있곘죠

 

그리고 몸에 살집이 상당히 많기때문에

 

특히나 볼살이 통통하기 때문에 상당히 귀여운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원숭이 시기를 맞은

 

포메라니안과 비슷한 생김새를 하고있는것처럼 보이네요

 

라쿤과 조금 비교를 해보자면

 

눈 주위가 검어서 라쿤과 비슷하지만

 

너구리의 꼬리에는 줄무늬가 없습니다

 

반면 라쿤의 꼬리에는 줄무늬가 있기때문에

 

너구리와 라쿤을 구별할 때 큰 도움이 된다고 하죠

 

그러나 너구리를 묘사한 일러스트를 보면

 

귀엽게 보일려고 줄무늬를 그리는 경우가 많죠

 

실제로 제가 좋아하는 라면중 하나인 너구리에 표지를 보면

 

너구리가 이족보행을 하고

 

꼬리에 줄무늬가 있는것을 확인을 할수가 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 너구리의 식성

 

너구리는 잡식성으로 온갖것을 먹기로 유명합니다

 

곤충이나 설치류부터 시작해서

 

양서류 , 조류 , 어류 ,파충류 , 식물등 가리는것이 없다고 하죠

 

심지어는 동물의 사체와 곡식까지 먹을수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디에 내놔도 적응력이 굉장히 뛰어난 동물이라고 볼수가있죠

 

이 같은 특징때문에 어마어마하게 번식을 하기도 하는데

 

원래 너구리는 한반도와 일본 중국 그리고 동아시에 인접한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 서식을 했습니다

 

그러다가 1928년 구 소련이 병사들의 모피를 얻을 목적으로

 

너구리들을 데리고 왔었는데

 

너구리들이 야생화가 시작이 되면서

 

점차 번식하게되고 점차 구역이 넓어지면서

 

소련 영토를 넘어서 폴란드와 독일로 퍼지게 된것입니다

 

현재 유럽에서는 라쿤에 필적할 정도로

 

너구리는 생태계와 농업에 끼치는 피해가 무지막지 합니다

 

그래서 독일을 포함한 유럽 국가에서는

 

라쿤과 함께 10만마리 이상을 사냥을 하기도 합니다

 

덴마크에서는 아예 너구리 번식 제로를 목표로 삼을 정도라고 하죠

 

그리고 너구리의 가장 큰 천적은 늑대라고 볼수가 있는데

 

늑대는 봄과 여름에도 너구리를 잡아먹고

 

가을에도 잡아먹는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너구리의 사망원인 중 늑대에게 잡아먹힌것이 대략 64퍼가 된다고 하죠

 

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야생호랑이나 늑대와 같은 대형 포식자가 없기때문에

 

그 개체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것이 현실입니다

 

실제로 약 신안군 자은면 와우리에 사는 농부는

 

1200평에 땅콩 농사를 지었다고 하는데

 

너구리떼가 습격을 하면서

 

수확을 전혀 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 당시에 농부는 너구리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그물망까지 설치를 했으나

 

그물망을 찢거나 땅을 파고 밭으로 침범하는 너구리를

 

당해 낼수 없엇다고 합니다

 

전송중...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3. 너구리의 죽은척

 

너구리는 이같이 다양한 스킬을 보여주고

 

다양한 침투 능력을 보여주지만

 

의외로 귀여운 면도 존재하게 되는데요

 

너구리는 몸크기에 비해서

 

다리가 짧아서 민첩하게 움직이지는 못합니다

 

그래서 늑대와 같이 날렵한 동물에게 잡아먹히는건데

 

그래서 너구리는 천적이 공격을 하게 되면

 

우리나라 개과동물 중에서는 유일하게 죽은 척을 하다가

 

천적이 공격을 멈추고 잠깐 딴짓을 하면

 

휙 하고 도망을 가버린다고 합니다

 

그런데 다른 학설이 요즘 떠오르고 있는 추세인데

 

너구리는 우리가 곰을 만날때 해야하는

 

행동이라고 생각하는 죽은척을 하는게

 

사실은 겁이 많은 너구리가 너무 놀라서

 

기절을 한다는 이야기도 존재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같이 귀여운 모습때문에

 

야생에서 만나는 너구리를 만지려고 하는분들이 많은데

 

왠만하면은 야생에서 만나는 동물은

 

만지지 않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너구리는 개선충과 진드기로 인해서

 

감염 때문에 자주 피부병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 개선충은 사람에게도 옮길 수 있어서

 

야생의 너구리를 함부로 만지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광견병도 조심을 해야하는데

 

광견병은 주로 개과동물들을 숙주로 삼습니다

 

광견병에 걸린 개가

 

다른개를 물거나 미쳐 돌아서 사람까지 물어 제끼고 다니면

 

사람에게도 감염이 됩니다

 

이렇게 다른동물이 걸린질병이 사람에게도 전염되는것을

 

인수공통감염병이라고 불리는데

 

대표적으로 광견병 , AI , 탄저균 같은 무시무시한것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와같은 질병은 국가에서 관리를하게 되는거죠

 

실제로 특정기관이되면 정부에서 광견병 접종을 단돈 오천원에 해주기도 하죠

 

아무튼 이 광견병에 사람이 걸리면

 

흥분이나 불안감을 느끼고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고

 

물을 보게 되면 공포를 느끼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경련과 마비가 오게되고

 

혼수상태로 빠지게 되기도 하고

 

호흡을 잘 하지 못하게 되는데

 

치사율은 거의 100%로 대부분은 죽게 됩니다

 

그래서 미친 동물이 나를 문것 같다 생각이들면

 

최대한 빨리 병원가서 치료를 받는것이 좋습니다

 

#한국너구리

#라쿤

#죽은척전문배우

#너구리성격

#너구리카페

 

 

 

댓글